이중매매도 사기죄? 부동산 중복계약 처벌 수위 정리


혹시 부동산 계약을 진행하시다가 같은 부동산이 다른 사람에게도 팔렸다는 얘기,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런 경우가 바로 부동산 이중매매인데요.

겉보기에는 단순한 계약 문제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건 사기죄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는 중대한 범죄에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이 이중매매이고, 그로 인해 어떤 법적 처벌을 받게 되는지 쉽게 한번 풀어볼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이중매매란 정확히 뭘 의미하나요?

이중매매는 말 그대로 하나의 부동산을 두 사람 이상에게 동시에 매도하는 행위입니다.

예를 들어 A씨가 B씨에게 먼저 매매계약서를 쓰고 계약금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C씨에게도 같은 부동산을 다시 팔아버린다면 이건 전형적인 이중매매가 됩니다.

이때 단순히 계약서만 쓴 게 아니라 등기 이전까지 마쳤다면, 나중에 계약한 사람이 실소유자가 되어버릴 수도 있겠죠.

이런 상황에선 앞선 계약자는 금전적인 손해뿐 아니라 법적 분쟁에까지 휘말릴 수 있어서 굉장히 억울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이중매매는 무조건 사기죄로 처벌되나요?

이중매매라고 해서 모두가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건 아니지만, 사기죄 요건을 충족하면 형사처벌이 가능합니다.

핵심은 ‘기망행위’와 ‘재산상 이익 취득’이 있었느냐입니다.

즉, 매도인이 이미 A에게 팔기로 해놓고, 그 사실을 숨긴 채 C에게 “아무 문제 없다”고 하며 계약을 진행하고 돈을 받았다면, 이건 사기죄 성립 가능성이 높아져요.

기망을 통해 재산상 이득을 취득한 셈이니까요.

| 사기죄가 성립된다면 처벌 수위는 어느 정도인가요?

사기죄는 형법 제347조에 따라 규율되는데요.

일반 사기죄의 경우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중매매와 같이 피해 금액이 크거나 고의성이 명확한 경우엔 실형이 선고될 수도 있어요.

실제로도 수억 원대의 부동산 이중매매가 이뤄진 사례에서는 징역 1~3년이 선고된 적이 종종 있습니다.

또한 피해자 수가 다수거나 반복적으로 범행이 이어졌다면, 가중처벌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민사적 손해배상도 함께 청구될 수 있습니다

형사처벌과는 별도로, 이중매매 피해를 본 분은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계약금을 돌려받는 건 물론이고, 해당 부동산의 시세차익 손해, 위자료 등을 민사적으로 따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 실제 손해배상이 원만히 진행되기 위해선 부동산 등기 여부나 당시 계약 당시의 상황 등을 꼼꼼히 입증해야 하므로,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꼭 필요할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부동산 이중매매가 형사처벌로 이어지려면, 단순한 실수나 착오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상대를 속여 금전적 이득을 취한 경우여야 합니다.

이럴 땐 사기죄 혐의로 충분히 수사와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요즘 같은 정보화 시대에선 등기부등본 조회나 권리관계 파악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매매 계약을 체결하기 전엔 반드시 사전 확인 절차를 철저히 하셔야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타인 신용카드 사용했다가 큰일 납니다! 처벌 수위는?

Next
Next

안경형 몰래카메라? 위장카메라 촬영 혐의 시 처벌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