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 사기, 형사처벌 받을 수 있나요? 처벌 수위는?


부동산 투자 관련 뉴스에서 ‘갭투자 사기’ 이야기를 자주 접하셨을 텐데요.

처음엔 갭투자가 뭔지도 헷갈리는데, 여기에 사기 혐의까지 얽혀 있다 보니 “이게 불법인가요?” “처벌 받나요?”라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갭투자 사기 혐의의 정의부터 처벌 수위, 실제 사례까지 한번에 쏙쏙 이해되게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갭투자란 무엇인가요?

간단히 말해서, 전세보증금을 활용해 자기 자본 거의 없이 집을 사는 투자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어떤 집이 매매가 2억, 전세가 1억 8천이라면 2천만 원만 있으면 그 집을 살 수 있는 구조죠.

이 자체는 ‘불법’은 아니지만, 문제는 ‘의도적인 갭투자 사기’입니다.

| 갭투자 사기 혐의가 적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형법상 사기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1. 전세금을 돌려줄 능력도, 의사도 없는데 전세 계약을 체결한 경우

2. 임차인에게 허위로 ‘안심하세요’ 하며 사실을 숨긴 경우

3. 계속되는 전세 계약으로 다수의 피해자를 양산한 경우

4. 전세금을 빼돌려 개인 채무를 갚거나 생활비로 사용한 경우

이런 경우는 단순한 투자 실패가 아니라 명백한 '기망행위', 즉 사람을 속여 재산상 이득을 취한 사기죄로 볼 수 있습니다.

| 갭투자 사기 혐의, 처벌 수위는?

형법 제347조에 따르면,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해 규모가 클 경우에는 특경법(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엔 5억 원 이상 피해: 3년 이상 유기징역, 50억 원 이상 피해: 5년 이상 또는 무기징역 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처벌이 매우 무겁게 적용될 수 있어요.

온라인 커뮤니티

| 실제로 어떤 사례가 있었나요?

실제 사례에서는 갭투자로 수십 채의 주택을 사들인 뒤 전세를 놓고 보증금을 빼돌려버린 일당이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전 재산을 보증금으로 넣은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도 많았고요.

판례에서는 “임차인을 속이고 전세보증금을 편취한 점이 악질적”이라며 엄정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부동산은 얽히면 길어지고 복잡해지는 일이 정말 많습니다.

갭투자 사기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되셨다면, 혼자 대응하기보다는 경험 있는 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현명한 대응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허위매물 올리면 어떤 처벌 받을까? 사기죄까지 가능하다고요?

Next
Next

불공정거래행위로 형사처벌될 수도 있다고요?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기준